일반용어.

기물 : 궁장기를 두기 위하여 필요한 도구인 장기알을 칭한다.

행마 : 기물들이 제각기 가는 길(방법)을 말한다.

교차점 : 장기판에서 선과 선이 교차하는 점으로 장기의 기물이 머무는 자리이다.

착점 : 90개의 교차점 중 하나로 장기 기물을 입수하여 착수하는 점이다.

입수 : 장기를 두기 위해 손으로 교차점에 있는 기물을 들어 올리는 행위를 말한다.

착수 : 기물을 움직여 착점에 놓는 것을 말한다.

좌표 : 장기판의 가로줄과 세로줄에 표시한 90개의 교차점에 대한 고유번호로

세로줄은 숫자 1. 2. 3. 4. 5. 6. 7. 8. 9. 10 으로 표기되어 있고,

가로줄은 알파벳 a, b. c. d. e. f. g. h .i. 로 표기 되어 있다.

포진 : 대국이 시작되어 초반에 자기 나름대로의 공격과 방어진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대살 : 자기의 기물과 상대의 기물을 서로 교환하여 상쇄시키는 것.

농포 : 자기의 포로 상대편 진영의 기물을 노리거나 상대편 포진을 교란시키는 것을 말한다.

흔히 농포작전이라고도 한다.

연장군 : 연이어 계속하여 장군을 부르는 수를 말한다.  단, 대회규정은 세번이상 반복 할 수 없다.

입궁 : 내 편의 기물이 상대편 궁성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합졸 : 병졸을 띄어 놓지 않고 합쳐 놓는 것.

독병 : 병졸이 합졸 되지 않고 혼자 떨어져 있는 것.

면포 : 포가 중앙의 궁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면상 : 상이 중앙의 궁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멱 : 어떤 기물이 가는 길에 다른 기물이 놓여 길 방해를 하는 지점을 말한다.

귀 : 궁성의 네 가장자리를 말한다. 좌상귀, 우상귀, 좌하귀, 우하귀.

빅수 : 장기를 둘 때 서로가 상대방의 궁을 잡지 못하거나 이길 수 없는 수.

장군 : 상대편의 궁을 잡을수 있는 수.  즉 나의 기물이 행마하는 자리에 상대편의 궁이 있는 수.

멍군 : 장군을 받아 피하거나 막는 수.

민궁 : 궁성에 기물이나 사가 하나도 없이 궁만 홀로 남아 있는 형태.

형태 : 장기판에 기물이 놓여 있는 상태. 모양이 좋은 것을 양형, 나쁜 모양을 우형이라 한다.

외통수 : 한 편에서 부른 장군으로 상대편의 궁이 피할 수 없게 두는 수.

수순 : 기물의 행마나 수의 순서.

안궁 : 자기의 궁이 궁성의 안전한 자리로 이동하면서 궁수비 형태를 갖추는 것.

묘수 : 불리하던 국면을 유리하게 바꾸거나 승부에 직결될 만큼 아주 절묘하게 둔 좋은 수

일수불퇴(一手不退) : 한 번 둔 수는 절대 무를 수 없는 대국 규칙.

양수겸장(兩手兼將) : 장기에서 두 개의 기물로 동시에 장군을 부르는 수.

양수겸장일 때는 어느 한쪽 장군만 받는 게 아니고 둘 다 받아야 한다.

양수겹장이라고도 한다. (두 개의 총알이 날아 올 때 하나만 피하면 죽는다)

포진용어.

판차림 : 장기를 두기 위하여 모든 기물을 장기판 위에 배치시키는 것으로  4가지의 차림이 존재한다.
① 왼상차림 (상마상마)
② 오른상 차림 (마상마상)
③ 안상 차림 (마상상마)
④ 바깥상 차림 (상마마상)

포진 : 판 차림을 한 후 진형을 갖추기 위하여 기물들을 전면에 배치시키는

초반전 단계로 5가지의 포진 유형이 존재한다.

① 귀마 포진
② 원앙마 포진
③ 면상 포진
④ 양귀마 포진
⑤ 양귀상 포진

맞상 포진 : 귀마 포진의 여러 유형 중에서 본인과 상대방의 상(象)이 대각선으로 마주 보는 형태의 초반 진형을 말하는 것으로 일명 “동네장기 포진”이라고도 불린다.

정형 포진 : 귀마 진영에 있는 포가 아닌 귀마 반대편에 있는 포를 면포로 놓는 포진 유형으로 프로나 아마 유단자가 많이 애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포진.

변형 포진 : 귀마 쪽에 있는 포를 면포로 놓는 포진 유형으로 아마추어가 많이 애용한다.

귀마 포진 : 초반에 마 하나만을 궁성의 “귀”자리에 배치시키는 포진으로 장기인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대표적인 포진이다.

원앙마 포진 : 궁성 앞 정면에 마가 진출하여 마끼리 서로 연결되어 원앙형태로 진형을 갖추는 포진으로 부부 금술이 좋기로 유명한 원앙새를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면상 포진 : 궁성 9자리중 맨 위 가운데 자리인 “면(面)”에 상을 배치시키는 포진으로 양포의 활용을 통한 농포 공격이 이루어 진다.

양귀마 포진 : 궁성 9자리중 맨 윗부분 양 모서리 자리인 “귀”에 양마를 배치시킨 후 정중앙의 졸을 한 칸 올려 진형을 갖추는 포진.

양귀상 포진 : 양귀마와 비슷하게 궁성의 양쪽 귀에 양상을 배치시키는 포진으로 사용 빈도가 가장 적다.

행마용어.

양차 합세 전법 : 양차가 합세한 합동 공격으로 적진의 진영을 뚫거나 기물들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공격법으로 양차를 종으로 세워서 공격한다.

가위다리차 : 양차가 서로 다른 선 위에 놓여 있으면서 상대의 기물이나 왕을 위협하는 형태.

면포 : 궁성의 면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

귀포 : 궁성의 귀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

중포 : 궁성에서 왕이 놓인 위치의 양 옆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

하포(下包) : 궁성의 맨 아래 3군데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

농포(弄包) : 보통 초반전에 포의 좌우 이동을 통하여 상대 진영을 교란시키는 포.

궁중포(宮中包) : 궁성의 정 중앙에 놓인 포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나쁜 형태 중의 한가지이다.

곁마 : 궁성에서 처음 왕이 놓인 위치의 양 옆자리에 마를 배치시킨 형태를 말하는데 견마(肩馬)라는 적절하지 못한 용어를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

고등마(高登馬) : 궁성의 귀마가 정 중앙에 있는 졸 앞으로 진출한 형태를 말하는데 콧등마라는 틀린 용어를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

긴상 : 장기판 중앙에서 상이 움직일 수 있는 행마는 총 8가지인데 그 중에서 옆으로 움직이는 좌.우 4가지 행마 형태를 말한다. 한국장기판이 가로가 세로보다 넓기 때문에 상이 옆으로 움직일 경우 길어 보이는 점으로 인해 붙여진 이름이다.

바른상 : 긴상과 비교되는 행마로 상이 앞이나 뒤로 움직일 때의 4가지 행마 형태.

졸과 병의 명칭 : 처음 판 차림 시 졸과 병이 고정된 위치에 놓일 때의 명칭은

맨 왼쪽에 있는 졸부터 다음과 같이 부른다.

①좌변졸   ②좌진졸   ③중앙졸   ④우진졸   ⑤우변졸

병도 마찬가지로 좌변병, 좌진병, 중앙병, 우진병, 우변병이라 부른다.

합졸(合卒) 또는 합병 : 졸(병)을 서로 모여 합쳐 놓은 것으로 튼튼한 형태가 유지된다.

멱(숨통) : 장기 기물이 움직이는 길(길목)을 말하는데 보통 마와 상이라는 기물에서 움직이고자 하는 곳에 장애물이 있어 가지 못하는 경우에 멱이라는 개념이 적용된다. 장기에서 멱이 막히면 기물이 힘을 쓸 수가 없으며 멱도 모르고 장기 둔다는 멱부지(멱不知)의 격언도 있다.

공격과 방어용어.

양걸이 : 어떤 기물이 움직이면서 상대편 2개의 기물을 동시에 공격하는 수법.

뜰장 : 앞에 있던 기물이 움직이면서 뒤에 있는 기물이 장군을 부르는 공격수.

묶어 두기 : 하나의 기물로 상대편 여러 기물들을 동시에 묶어 두는 공격수법을 말하는데 보통 상대편 왕을 보호하거나 그 왕의 행로(다니는 길)에 어떤 기물이 놓여 있을 때 그 기물들을 묶어 두어 움직이지 못하게 방해를 하는 공격수. 그 기물이 움직이면 장군이 되어 왕이 죽게 된다.

안궁(安宮) :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왕을 보호하기 위하여 궁성의 맨 아래 자리에 왕이 이동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궁 수비의 형태.

천궁(天宮) : 궁성의 맨 윗자리로 왕이 움직여 궁수비하는 형태로 초반전에 의도적으로 천궁을 시도하여 농포 공격을 하거나 중반 이후에 장기가 불리해 왕이 어쩔 수 없이 천궁으로 피하는 2가지의 경우가 일반적이다. 천궁이 되면 형태가 불리해진다.

대살(對殺) : 쌍방 기물들을 서로 교환하여 없애는 것으로 “대쇄,상쇄”라고도 한다.

입궁(入宮) : 기물이 상대편 궁성에 침입하여 공격하는 형태.

낱장기 : 종반전에 기물이 몇 개 남지 않았을 경우 승패를 결정짓기 위한 기물의 정형화된 형태.

한초장기 용어.

아래의 용어들은 한.초장기의 용어들로써 궁장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삼능(大三能) : 쌍방 양사가 있을 때 어느 한쪽에서 큰 기물 3개가 남았을 경우의 낱장기 유형.

소삼능(小三能) : 쌍방 양사가 있을 때 어느 한쪽에서 작은 기물(졸.병)과 큰 기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낱장기 유형

차이능(車二能) : 한쪽이 양사와 궁만 있는 상태에서 상대편이 차와 대기물 1개가 남은 경우의 낱장기 유형으로 차포.차마.차상이 대표적인 유형인데 3가지 모두 원칙적으로 비기는 기물이다.

차삼능(車三能) : 한쪽이 양사와 궁만 있는 상태에서 상대편이 차를 비롯하여 다른 기물 2개가 남은 경우의 낱장기 유형으로 비기는 기물 유형도 있으나 이기는 기물이 거의 대부분이다